
안전하세요!? 자율안전확인신고 대상인 연마기에 대해서 문의가 들어와서 오늘은 안전보건공단에 질의회시를 넣었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참고로 자율안전확인신고 시에 연삭기와 연마기 위험성평가를 하기전에 중요한 부분이 있는데요 연삭기의 경우에는 방호덮개를 밀폐형으로 하고 위험성평가 제17호 기준(연동식 가드)을 만족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연삭기 덮개에 대한 자율안전확인신고가 먼저 실행되어야 합니다! 가공물을 수동으로 이동시켜 연마해도 신고대상? 일단 자율안전확인 신고 대상인 연마기에 대한 적용범위 부터 알아볼까요? 연마기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연삭숫돌 또는 연마재 등을 사용하여 금속이나 그 밖의 가공물의 표면을 깍아내거나 절단 또는 광택을 내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말합니다! 질의 안녕하세요..

[서귀포] 암석층으로 절경인 용머리해안 3월에 다녀온 제주도 이야기를 이제서야 계속 해드리고 있네요^^;; 제주도에서 2박3일 동안 있으면 서귀포시 위주로 여행다녔는데 그 중에 오늘은 용머리해안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용머리해안은 바닷속으로 들어가는 용의 머리를 닮았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겉으로 보면 평범하지만 좁은 통로를 따라 바닷가로 내려가면 오랫동안 층층이 쌓인 사암층 암벽이 나온다. 180만 년 전 수중폭발이 형성한 화산력 응회암층으로 길이 600m, 높이 20m의 현무암력에 수평층리·풍화혈·돌개구멍·해식동굴·수직절리단애·소단층명 등이 어우러져 절경을 이룬다. 해안 오른쪽에는 반원형으로 부드러운 검은모래사장[黑沙場]이 펼쳐져 있다. - 라고 네이버 지식백과가 알려주었습니다. 근데 용머리해안갔다면서..

식품혼합기 자율안전확인신고 컨설팅 - 전북 고창 편 오늘은 오랜만에 전라북도 고창에 다녀왔습니다! 경상지역이나, 부산지역은 컨설팅 문의가 많이 들어오는데, 전라, 광주 지역도 컨설팅을 당연히! 진행하고 있으니, 많은 문의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은 어떤 유해위험기계를 확인하고 왔는지 지금부터 함께 보시죠! 오늘 소개해드릴 자율안전확인신고 대상품은 식품혼합기입니다. 식품혼합기는 식품가공용 기계로 분류되어 산업용 혼합기와 다르게 모터용량이 1.2킬로와트를 초과하는 경우 신고 대상에 해당됩니다. 지금부터 위험성을 함께 찾아 볼까요? 식품혼합기는 밀폐식 구조와 덮개식 구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밀폐식 구조와 덮개식 구조의 경우 주원료 및 부원료 등을 투입하는 방법에 따라 달라지며, 덮개를 개방하고 원료 등을 ..

컨베이어 자율안전확인신고 컨설팅 - 경북 경주 편 오늘은 경상북도 경주에 다녀온 자율안전확인신고 컨설팅 진행과정을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과연 오늘은 어떠한 유해위험기계가 기다리고 있을까요? 지금부터 함께 확인해 볼까요?! 오늘은 경상북도 경주에 다녀온 자율안전확인신고 컨설팅 진행과정을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과연 오늘은 어떠한 유해위험기계가 기다리고 있을까요? 지금부터 함께 확인해 볼까요?! 오늘은 경상북도 경주에 다녀온 자율안전확인신고 컨설팅 진행과정을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과연 오늘은 어떠한 유해위험기계가 기다리고 있을까요? 지금부터 함께 확인해 볼까요?! 먼저 해당 컨베이어는 팔레트 등을 운반하는 용도로 제작되었습니다. 1개의 길이는 3미터가 안되지만, 2대를 연결하여 사용하기 ..

공공기관 위험성평가 이번 시간에는 위험성평가 컨설팅 진행과정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공공기관은 2019년 공공기관의 안전관리에 관한 지침이 제정되면서 공공기관도 이제는 위험성평가를 반드시 실시해야 합니다! 그럼 우리 함께 위험성을 함께 찾아볼까요?? 첫 번째 사진을 볼까요? 출입구 방화셔터 앞에 소화기 적재하여 화재 발생 시 사고의 확산 위험이 있습니다! [위험성 결정 : 사고 발생의 가능성(2점) × 사고 결과의 중대성(4점) = 위험성(8점)] 따라서 출입구 방화셔터 주변 화물 등 적재 금지 및 유지관리 실시하셔야 합니다! 두 번째 사진에서는 어디가 위험해 보이시나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47조의2에 따라 심폐소생을 위한 응급장비의 구비 등의 의무가 있습니다. 해당 사업장은 설치 의무대상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