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지난번 포스팅에 이어서 KC 전파인증에 대해 한번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KC 전파인증이 무엇인가요? KC전파인증은 KC인증, 전파인증, 전자파인증 등 많은 용어로 사용되지만, 정식적인 용어는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입니다.전파법 제58조의2에 따라 방송통신기자재와 전자파장해를 주거나 전자파로부터 영향을 받는 "방송통신기자재등"을 제조 또는 판매하거나 수입하려는 자는 해당 기자재에 대하여 적합성평가기준에 따라 "적합성평가"를 받는 제도입니다. KC전파인증을 받아야 하는 제품은 무엇인가요? KC전파인증 즉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를 받아야 하는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1. 무선기기(휴대폰, 드론, 블루투스 제품 등)2. 유선기기(전화기, 팩스, 모뎀 등)3. 전기기기 및 전..

안전하세요?!요즘 해외직구 영향으로 우리가 실제 사용하는 제품에 대한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개인직구를 통해서 저렴하게 제품을 구매하려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너무 과도한 규제가 아닌가?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오늘은 전파법 제58조2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 KC인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 제품 인증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직구를 통해서 이슈가 되고 있는 항목은 대부분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전파법, 어린이제품 안전 특별법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모두 생활 소비재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제품들에 대한 제도 입니다.이런 법 제도를 통해서 발급되는 마크가 KC인증 마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중에서도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전파법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