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JJeAU/btrYJ0BjN8X/Px5gOGtXrpnTYfZw58fym1/img.png)
여러분 안전하세요!? 안전하세요가 입에 붙어 버려서 실 생활에서도 안녕하세요대신 가끔 안전하세요가 나옵니다 ㅎㅎㅎ 오늘은 근골격계질환예방, 근골격계유해요인조사 실시 과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해요! 실시과정에 대해서만 핵심을 짚은 글은 없는 것 같아서 오늘은 이 주제로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늘상 제일 먼저 나와 지겨우면서도 꼭 알아야 하는게 뭘까요? 법령 아 지겨워 산업안전보건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39조제1항제5호,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12장 및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12호(근골격계부담작업의 범위 및 유해요인조사 방법에 관한 고시)의 규정에 따라 근골격계부담작업에 대한 유해요인조사 목적, 조사자, 조사시기 및 대상, 방법 및 내용, 작업환경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qfBRz/btrYI5VFA95/LFx295iMJB1MJ9k8UVkH0K/img.jpg)
그간 안전하셨나요? ^^ 이틀간 너무 바빠서 블로그에 신경을 쓰질 못했네요 ㅠㅠ 시간날때 틈틈히 와서 일상얘기라도 풀고싶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습니다 ㅎㅎㅎ 아무튼 오늘은 재해예방 OPS(One Point Sheet) 프레스 편 입니다! OPS가 핫한 요즘 모든 시리즈를 다 올려야 하는데 갈길이 머네요~ 이번편도 바로 알아볼까요? ■ 프레스는 금형교환 및 수리·점검 작업 시 끼임 재해가 많이 발생하는 위험 기계입니다 재해사례 1. 불량품을 수동으로 재작업하는 공정에서 슬라이드가 하강하여 상금형과 트랜스퍼 사이에 끼여 1명 사망 2. 프레스 공압을 제거 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리 중 슬라이드 상승으로 프레스 본체와 슬라이드 상부에 끼여 1명 사망 3. 프레스 정비 작업 중 타 근로자의 임의작동으로 인한 끼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60Vc1/btrYapgZUCL/1ZPgdQer2lo7bcy3T52l10/img.png)
여러분 안전하세요!? 지난 31일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시행규칙을 일부 개정하였다는 고용노둥부장관의 말이 있었습니다. 오늘은 그 내용이 무엇인지 말씀드리도록 할게요! 입법예고(2022. 12. 22. ~ 2023. 1. 30.) 중 1. 근로자 안전보건교육기관 운영 위임근거 추가 등(안 시행규칙 제26조) ■ 개정 이유 • 현행 「안전보건교육규정」에 근로자 안전보건교육기간의 교육과정 편성 및 교육방법, 수행실적 제출 등 운영과 관련된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법령상 위임근거가 불명확 * 시행규칙 제26조 ② 제1항에 따른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교육방법과 그 밖에 교육에 필요한 사항은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 시행규칙 제26조에 근로자 안전보건교육의 시간 및 내용(제1항), 강사자..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o95Ap/btrXXgYwOnu/nNwX9qKGtdcyYFk8qwpkl0/img.jpg)
안전하세요!? 오늘은 판매종사자에게서 발생했던 근골격계질환 사례를 가져왔습니다. 근골격계질환은 우리가 일하는 어느 사업장에서든 충분히 발생 가능성이 있는 재해사례이므로 꼭 유의해야 합니다! 안전보건공단에서 배포했던 재해사례를 함께 보도면서 주요 위험 요인과 안전대책을 알아볼까요? 재해사례 개요 판매원이 물품을 운반하기 위하여 사전 준비운동 없이 갑자기 무리하게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허리부상을 당함 주요 위험 요인 반복작업, 과도한 힘, 부적절한 작업자세 등 모두 근골격계질환 발생의 원인이 됩니다! 작업안전대책 ■ 근골격계질환 예방(포장) • 교대근무를 통해 반복작업 최소화 • 적절한 휴식시간 부여 및 스트레칭 실시 ■ 근골격계질환 예방(적재) • 올바른 운반작업 자세 확보 • 작업 전·후 스트레..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W2Xoe/btr06W3TMpK/JeufBf5TSKkHdyjEpvPxnK/img.jpg)
안전하세요? 이번에 알려드릴 안전정보는 '크레인' 입니다. 이 역시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에서 배포한 OPS(One Point Sheet) 이며 작업 전 안전점검을 할때 꼭 참고해주세요! 또한 크레인은 건설기계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기중기를 제외한 정격하중 0.5톤 이상 (호이스트 및 차량탑재용 크레인 등)은 안전인증 대상으로 꼭 인증을 받으신 후 사용하셔야 해요! ■ 크레인은 중량물 취급 시 중량물에 끼임, 크레인 거더-내부 개구부에서 떨어짐, 고소작업용으로 사용 중 떨어지는 재해가 많이 발생하는 위험 기계 입니다. 재해사례 1. 크레인으로 중량물 운반 중 재해자를 발견못하고 중량물 이송하여 중량물과 트레일러 사이에 끼임 2. 천장크레인 이용하여 철판(1.25톤)들어올리던 중 철판에 걸었던 달기구 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