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전하세요?
이번에 알려드릴 안전정보는
'크레인' 입니다.
이 역시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에서 배포한
OPS(One Point Sheet) 이며
작업 전 안전점검을 할때
꼭 참고해주세요!
또한 크레인은
건설기계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기중기를 제외한 정격하중 0.5톤 이상
(호이스트 및 차량탑재용 크레인 등)은
안전인증 대상으로
꼭 인증을 받으신 후 사용하셔야 해요!
■ 크레인은 중량물 취급 시 중량물에 끼임, 크레인 거더-내부 개구부에서 떨어짐, 고소작업용으로 사용 중 떨어지는 재해가 많이 발생하는 위험 기계 입니다.
재해사례
1. 크레인으로 중량물 운반 중 재해자를 발견못하고 중량물 이송하여 중량물과 트레일러 사이에 끼임
2. 천장크레인 이용하여 철판(1.25톤)들어올리던 중 철판에 걸었던 달기구 훅이 빠지면서 훅에 맞음
3. 노후화된 천장크레인에 버킷 용량 이상의 인양물을 운송하던 중 크레인 거더가 파단되어 크레인과 함께 떨어짐
■ 최근 5년간 180명 사고사망자 발생
■ 위험요인으로는 중량물 취급 시 중량물에 맞음·끼임, 훅에서 중량물 떨어짐, 크레인과 기둥 사이에 끼임, 크레인 내부 개구부, 거더에서 떨어짐 등이 있습니다.
출처 : 고용노동부, 안전보건공단
'안전관리 > 안전점검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 작업 전 안전점검OPS - 산업용 리프트 (0) | 2023.02.20 |
---|---|
06. 작업 전 안전점검 OPS - 프레스 (0) | 2023.02.09 |
04. 작업 전 안전점검OPS - 컨베이어 (0) | 2023.01.30 |
03. 작업 전 안전점검OPS - 지게차 (0) | 2023.01.19 |
02. 작업 전 안전점검OPS - 산업용로봇 (0) | 2023.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