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개요 2018년 7월 전라북도 사어장 내 인산공정 황린 저장탱크 하루 드레인용 2중 밸브 플랜지 접촉 부위에서 황린이 누출되어 자연발화되면서 화재 발생 및 탱크하부 보온재 일부가 손상된 사고입니다. 사고발생 공정 및 물질 사고발샐공정 황린을 연소와 수화를 통해 공업용 인산과 고순도 인산을 생산하는 인산공정임 사고발생물질 사고발생원인 - 밸브 적정성 미흡 해당 게이트 밸브는 비상승식 밸브 타입으로 육안으로 밸브의 닫힌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웠고, 이에 근무자가 해당 밸브를 완변하게 닫지 못하였으며, 당ㅇ시 밸브가 완벽하게 닫혀 있지 않은 상태에서 플랜지 접촉부위에 황린이 유입되어 잔류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 배관 지지대 누락 황린 수급문제로 저장탱크 연결 배관을 설치하였으나, 변경 전 지지대 설치기준..
재해개요 2021년 10월 20일 충남 보령시 조새 공장 내 차체부품(변속기 케이스)제조라인에서 ptc 장비실 안으로 들어가 조치 중이던 재해자가 하강하는 갠트리 로더의 그리퍼와 찿[부품 사이에 끼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재해상황도 재해예방 대책 1. 방호장치 임의 해제 및 기능을 무효화 사고가 발생한 설비의 문은 양쪽에 안전스위치의 키가 체결되는 방식으로 닫히는 구조이며, 열린 상태에서 체결이 분리된 부분에 바이패스 키를 체결함으로 인해서 방호장치의 기능을 무효화 2. 안전수칙 및 안전운전절차 미흡 안전운전절차(OPS)에 다양한 장비 에러 상황에 대한 구체적 안전운전절차 매뉴얼 작성이 미흡 설비의 동작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방호장치의 기능을 무효화시키는 내용(바이패스 키의 체결) 관련 작업 매뉴..
재해개요 2023.1.31 경남 공사 현장에서 피재자가 부잔교에서 부선(바지선)으로 이동하기 위해 부잔교에서 뗏목에 탑승한 후에 몸의 중심을 읽고 바다에 빠져 사망한 재해사고 재해발생 원인 1. 육지와 바지선 사이를 통행할 수있는 통로 미설치 - 육지에서 바지선으로 이동 시 이용할 수 있는 통로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피재자가 바지선으로 이동하기 위해 뗏목에 탑슬하던 중 빠짐 2. 구명장구(구명조끼, 구명구 등) 미비치 - 작업을 하는 장소(바지선 상부)에 구명장구를 비치하여야 하나 미비치 재해예방 대책 1. 육지와 바지선 사이를 통해할 수 있는 안전하고 견고한 구조의 통로 설치 - 육지와 작업장소인 바지선 사이를 이동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견고한 통로를 설치하고, 항상 사용할..
재해개요 21년 5월 30일 용광로의 분진을 포집하는 구소배기장치에서 Pulsing용 질소가 금속포집박스로 역류되어 근로자 2명이 질식되어 사망 재해예방대책 1. 압축공기로 질소 대체 - 화재·폭발의 위험이 없는 경우 압축공기 사용 2. 국소배기장치 Blower와 Pulsing 연동장치 설정 - Blowe 정지상태에서 Pulsing이 이뤄지는 경우 역류가 발생할 수 있어 Pulsing은 Blower가 가동되는 경우에만 작동되도록 연동장치 설정 3. Pulsing 다이어프램 밸프 누설 시 역류 방지 - 다이어프램 밸브 누설되는 경우 질소가 역류되지 않도록 시스템 보완 (ex. Blower 정지되는 경우 Pulsing용 질 소 메인 배관 차단 등) 4. 국소배기장치 정기점검 실시 - 국소배기장치 정기점검 시..
건설현장 사망사고 위험요인 핵심 안전수칙 건설업 사망사고의 약 72% 이상이 50억원 미만 소규모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데, 작은 건설 현장은 안전·보건관리가 취약하기 때문입니다. 건설 현장 사망사고는 떨어짐, 부딪힘, 물체에 맞음, 깔림·뒤집힘이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건설현장에서 사망사고 많은 4대 기계·장비 1. 이동식 크레인 주행이 가능한 차량 등 설비 위에 탭재된 크레인(양중기)으로, 형태에 따라 기중기 또는 차량 탑재형으로 구분됩니다. 이동식 크레인 작업 중 줄걸이용 로프가 파단되어 자재가 낙하하거나 크레인을 설치한 지반이 침하되어 크레인이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 [안전수칙] ① 줄걸이 로프는 마모되거나 변형된 것의 사용 금지 ② 크레인의 아웃트리거는 지반 침하 위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