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전하세요! 오늘은 공정안전보고서 질의회시 결과를 알려드리려고합니다! 문의주신 사업장은 보일러를 취급하는 사업장인데 제출했던 공정안전보고서 설비용량과 다르게 변경하려고 계획중인데 변경하려고 하는 설비용량이 제출했던 설비용량 이하인 경우에도 다시 공정안전보고서를 제출해야하는지 문의주셨습니다! 공단에서의 답변을 보기 전에 공정안전보고서가 무엇인지 간략하게 알아볼까요? 공정안전보고서란? 산업안전보건법 제44조 규정 따라 석유화학공장 등 중대산업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유해·위험 설비를 보유한 사업장으로 하여금 공정안전자료, 공정위험성평가, 안전운전계획 및 비상조치계획 수립 등에 관한 사항을 기록한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하여 고용노동부장관에게 공정안전보고서를 제출하도록하는 법적 제도입니다. 제출대상? 상기 업..

안전하세요? 오늘은 컨베이어 안전검사를 받으면 자율안전확인신고가 면제인지 문의주신 고객님이 있어서 안전보건공단에 질의회시를 넣었습니다! 여기서 잠깐! 자율안전확인신고란?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기구등을 제조 또는 수입하는 자가 해당 제품의 안전에 관한 성능이 자율안전기준에 맞는 것임을 확인하여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신고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그렇다면 안전검사도 알아봐야겠죠? 산업안전보건법 제93조에 따라 유해하거나 위함한 기계·기구·설비를 사용하는 사업주가 유해·위험기계 등의 안전에 관한 성능이 안전검사기준에 적합한지 여부에 대하여 안전검사기관으로부터 안전검사를 받도록 함으로써 사용 중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안전검사 대상은? 크레인(이동식 제외), 리프트(이삿짐운반용 제외), 곤돌라, 이동식 크레..

안전하세요!? 자율안전확인신고 대상인 연마기에 대해서 문의가 들어와서 오늘은 안전보건공단에 질의회시를 넣었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참고로 자율안전확인신고 시에 연삭기와 연마기 위험성평가를 하기전에 중요한 부분이 있는데요 연삭기의 경우에는 방호덮개를 밀폐형으로 하고 위험성평가 제17호 기준(연동식 가드)을 만족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연삭기 덮개에 대한 자율안전확인신고가 먼저 실행되어야 합니다! 가공물을 수동으로 이동시켜 연마해도 신고대상? 일단 자율안전확인 신고 대상인 연마기에 대한 적용범위 부터 알아볼까요? 연마기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연삭숫돌 또는 연마재 등을 사용하여 금속이나 그 밖의 가공물의 표면을 깍아내거나 절단 또는 광택을 내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말합니다! 질의 안녕하세요..

도급인의 안전조치 및 보건조치와 관한 질의 도급사업으로 인한 수급인 근로자의 산업재해는 도급인의 경제적 손실 및 법적책임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도급업체(원청)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보건관리능력이 부족한 수급업체에서 유해·위험 작업을 도급받아 작업을 함에 따라 충남 태안 컨베이어 끼임 사망사고와 같은 수급업체 근로자의 사망재해가 지속 발생으로 도급인의 안전보건관리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에 따른 도급인의 책임범위 또한 확대 되었습니다. 도급인 사업주는 수급인 근로자가 작업을 하는 도급인 사업장 전체와 도급인의 제공·지정한 장소로서 도급인의 지배·관리하는 위험장소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수급인 근로자의 안전·보건조치책임 범위 확대에 따라 법적의무를 이행하여야 합니다...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 방법 관련 질의 및 각 사업장별로 실시해야할까요? 근골격계유해요인조사는 산업안전보건법 제39조 1항 5호에서 정하는 단순반복작업 또는 인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작업에 의한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규칙 제657조에 따라 유해요인조사를 실시해야 합니 다. 유해요인조사 시기 - 정기 유해요인 조사 : 매 3년마다 주기적으로 실시 - 수시 유해요인 조사 :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가 발생한 경우 실시 1.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임시건강진단 등에서 근골격계질환자가 발생하였거나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 별표3에 따라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받은 경우 2. 근골격계부담작업에 해당하는 새로운 작업·설비를 도입한 경우 근골격계부담작업에 해당하는 업무의 양과 작업..

안전하세요? 오늘은 자율안전확인신고 위험성평가 항목중에 통로에 관한 항목을 해당 사업장에서는 어떻게 봐야하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질의를 넣을 해당 사업장은 컨베이어 좌우측에 통로를 설치하고 정지/시작장치를 통로 출입구 등에 설치하는 경우 건널다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지 그리고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 규칙에 따라 계단으로 봐야하는지 사다리식 통로로 봐야하는지 안전보건공단에 문의를 넣습니다! 컨베이어 통로 및 통행구역 질의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보면 사다리식 통로 등의 구조와 계단의 폭, 계단참의 높이 등에 대해 나와있습니다! 알아보기 쉽게 안전보건공단에서 제작한 자료부터 먼저 보실까요? 제24조(사다리식 통로 등의 구조) ① 사업주는 사다리식 통로 등을 설치하는 경우 다음 각호의 사항을 준수하여..

안전하세요!? 요즘은 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는 산업용 로봇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건데요! 산업용로봇이 사랑받고 있는 이유는 당연히 자동화겠죠! 산업용로봇은 기술의 발전에 따라 물류 지원 로봇, 생산조립 로봇, 자율주행로봇 등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있습니다! 그러면 오늘 질의 내용을 볼까요? 레일 위에 자체 구동력을 이용하여 3축으로 이동하는데 산업용로봇에 해당할까요? 질의 해당 로봇은 레일 위에 자체 구동력(배터리)을 이용하여 X,Y등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로봇에서 Z축이 내려오면서 하부에 적재되어 있는 물건을 들어서 이동하는 로봇입니다. 자세한 작동방식은 아래 URL https://www.youtube.com/watch?v=x0i3kS18iNI 2:00 ~2:52 구간을 확인부탁드..

안전하세요!? 본격적인 장마 시작인 어제부터 계속 비가 오네요. 이런 날씨일수록 운전하시는분들은 안전운전 해주셔야 할거 같습니다. 그러면 오늘의 질의회신 내용을 한번 살펴볼까요? 밀링기로 자율안전확인신고를 받고 사용하다가 다른 공작물도 가공을 할 경우 다시 재신고를 해야하는지 안전보건공단에 질의를 넣었는데 어떤 답변을 받았는지 확인해볼겁니다! 목재도 가공하면 다시 루타기로 자율안전확인 신고해야 할까요? 일단 공작기계와 목재가공용기계 자율안전확인신고 관련 법적근거부터 보실게요! 위험기계·기구 자율안전확인 고시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37호] 제9장 공작기계(선반, 드릴기, 평삭·형삭시, 밀링) 제18조(정의) 이 장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선반"이란 회전하는 축(주축)에 공작물을..

안전하세요?! 오늘은 이미 자율안전확인신고를 받은 산업용로봇의 주요구조부를 변경할 경우 다시 자율안전확인신고를 받아야 하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있으실텐데요! 안전보건공단에 질의회시 결과 어떤 답변이 왔는지 같이 알아보실까요? 질의회시 결과 보기전에 자율안전확인신고 대상인 산업용로봇 적용범위 먼저 설명드리겠습니다. 자율안전확인신고 산업용 로봇 적용범위 “산업용 로봇(이하 “로봇”이라 한다)”이란 산업자동화 응용을 위한 자동제어와 프로그램이 가능한 3축 이상 메니퓰레이터를 구비하고 고정 또는 이동이 가능한 로봇을 말하며, 주요 구조부는 다음 각 목과 같습니다. 가. 메니퓰레이터 나. 전기, 유압 및 공압 동력 공급설비(power unit) 다. 본체 회전용 구동부 그럼 이제 안전보건공단에 질의회신한 답변을 보..
안전하세요?! 최근 자율안전확인신고 컨설팅을 진행하다 2013년 03월 이전에 제조 또는 수입한 기계를 중고로 구매하여 사용하는 경우 기계의 제조일 기준일까? 중고로 구입한 날이 기준일까? 라는 질문의 받아 해당 궁금증을 타파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마 가장 많이 궁금해하시는 부분이 아닐까 싶은데요! 2013년 03월 이전 제조 또는 수입한 기계·기구는 어떻게 적용되는지 같이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내품과 수입품은 기준이 다소 상이하기 때문에 집중해서 보셔야 합니다!ㅎㅎ 그럼 시작해 볼까요?! 2013년 03월 이전에 제조 또는 수입한 기계는 자율안전확인신고 대상일까? 먼저 가장 많이 신고를 진행하고 있는 컨베이어와 산업용로봇은 아래 사진과 같이 많은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어요! 2013년 03월 부..